생성형 인공지능(AI)이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와 접목, 전에 없던 기업·소비자용 소프트웨어(SW)를 창출하고 있다. SW 기업 관계자들은 우리나라가 글로벌 AI SaaS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라도 규제개선과 인력 양성, 자금 지원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일 서울 을지로 더존비즈온 사옥에서 'AI 일상화, 소프트웨어(SW)도 SaaS다!'를 주제로 SW기업 현장 간담회를 진행했다.
지용구 더존비즈온 부사장은 AI+SaaS융합을 통한 기업의 AX혁신 사례를 소개했다. 지 부사장은 더존 ERP 시스템에 저장된 기업투자 활동과 관련한 데이터를 AI가 일목요연하게 요약, 분석해 시각화하는 서비스를 시연했다. 또 결재문서 내 방대한 계약서 내용중 보험료 상승 요인이 있는지를 AI에게 질문해 점검·확인하는 서비스도 시연했다.
지용구 더존비즈온 부사장은 “AI는 5명이 하던 일을 2명이 하도록 줄이는 도구가 아니라, 5명이 8명처럼 일할 수 있는 도구로 업무효율과 생산성을 극대화한다”며 “다만, 제2의 뇌 역할을 하는 AI를 제대로 사용하려면 데이터가 필수인데, 마이데이터 등 데이터 활용 정책을 지속 개선해 나가야한다”고 강조했다.
간담회에서는 이 같이 정부의 적극적인 자금·제도 지원을 요청하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이주완 메가존클라우드 대표는 “국내 SaaS기업은 태동기인데, 2025년에는 모든 SW의 85%가 SaaS형태로 시장에 공급될 것”이라며 “벤처캐피털 등 민간 투자도 필요하지만, 글로벌 SaaS 진출 기반을 조성하려면 정부차원 투자 확대가 반드시 필요하고, 공공분야 SaaS 활용을 늘려야한다”고 말했다.
강용성 와이즈넛 대표는 “국산 SW시장 자리 잡는데 있어 테스트베드는 공공시장”이라며 “공공을 통해 검증받을 수 있고, 사스를 통한 새로운 변화가 글로벌 시장 돌파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준희 한국SW산업협회장은 “정부가 민간 클라우드 전환 정책을 강화하고 있지만, SaaS 전환을 위한 정책으로 보이진 않는다”며 “국내 기업도 SaaS화가 안된다면, 글로벌 진출이 불가능하다는 경각심 속에 스스로 혁신노력을 하고, 정부가 지원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성공적 해외 진출을 위한 조언도 이어 졌다. 이상희 센드버드코리아 대표는 “SaaS 기업들이 초기 투자를 받을 때 글로벌 VC를 유치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글로벌 스탠더드를 알 수 있고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영수 이콘소프트 대표는 “SaaS 기업들이 대부분 소규모에 영세하다보니 지원정책만으론 한계가 분명하며, 글로벌 진출 노하우가 필요하다”며 “SW산업협회와 정부가 지원해준다면 SaaS 아카데미를 설립해 글로벌 성공사례를 전파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강도현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공공분야는 타부처와도 끊임없이 토론하며 조속하게 정책을 추진해나가겠다”며 “업계 의견을 바탕으로, SaaS 글로벌 지원정책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박지성 기자 jisung@etnews.com
'IT & Insigh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온에 반응해 센서 등에 활용도 높은 전자잉크 개발 (0) | 2024.03.07 |
---|---|
머스크, 오픈AI가 투자한 로봇 라이벌에 "덤벼 봐" 도발 (0) | 2024.03.06 |
국자원 정보시스템, 대기업 참여 앞당긴다 (0) | 2024.03.05 |
어도비도 '음악 생성' AI 공개..."빅 플레이어들과 경쟁할 것" (0) | 2024.03.04 |
네이버-카카오, 총선 앞두고 '딥페이크·가짜뉴스' 차단 총력 (0) | 2024.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