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마케팅 썸네일형 리스트형 애플·구글 구도 깨라…플랫폼 패권 전쟁 사물인터넷(IoT) 시대를 겨냥한 스마트폰 업체들의 플랫폼 경쟁이 다시 뜨거워지고 있다. IoT 시대 플랫폼 주도권 경쟁에서 밀리지 않으려면 현재의 애플과 구글 구도를 흔들 수 있는 자체 플랫폼 경쟁력 확보가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스마트폰은 IoT 시대에도 핵심 연결고리가 될 가능성이 크다. 시장조사기관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지난해 스마트폰 OS 시장에서 안드로이드는 81.2% 점유율로 1위에 올랐다. 전년과 비교해 2.3%포인트 증가했다. 안드로이드폰 세계 판매량은 10억대를 돌파했다. 애플은 15% 점유율로 2위를 차지했다. 0.5%포인트 지난해보다 점유율은 감소했다. 그러나 지난해 판매된 1억9천270만대의 iOS 스마트폰이 모두 아이폰이란걸 감안하면 애플의 경쟁력은 iOS라는 분석.. 더보기 단말기 자급제, 통신문제 대안 될까 시장이 보조금 대란으로 들썩일 때마다 정치권은 여러가지 관련 법안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단통법)이 그 중에서 가장 강력한 대안으로 시행된 사례다. 보조금 분리공시, 통신 원가 공개 등도 여전히 도마 위에 올라 있지만 최근에는 단말기 완전 자급제가 가장 주목받고 있다.새정치민주연합 전병헌 의원이 단통법에 이어 이 단말기 완전 자급제를 법으로 만들기 위해 법안을 검토하고 있다. 전병헌 의원실은 시민과 전문가 의견을 모아 법안을 가다듬고 곧 발의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단말기 완전 자급제는 무엇일까.통신사가 휴대폰 못 팔게 하는 법안그간 보조금 대란이 터질 때마다 통신사, 판매점과 관계된 이들은 “차라리 통신사가 단말기를 팔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하소연을 털어놓곤 했다. 진짜 판.. 더보기 도장이 스마트폰과 연결되는 사물 인터넷 트렌드 트위터, 카카오톡, 배달의 민족 등의 스마트폰 앱들이 작은 아이디어에서 새로운 사업의 기회를 만들어낸 것처럼 사물 인터넷 기기 역시 작은 아이디어에서 시작해 새로운 비즈니스의 기회를 만들어낼 수 있다. 특히 실리콘밸리에서는 작은 아이디어로 시작하는 사물 인터넷 제조업체들이 점차 늘어가며 주목받고 있다.(https://www.kickstarter.com/discover/categories/technology) 국내에도 점차 사물 인터넷 관련 제조 스타트업이 보이고 있으며, 2013년부터 디지털 스탬프를 스마트폰과 연계한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수익모델을 만들어가는 원투씨엠이 있다. 웬투씨엠은 에코스(echoss)라 부르는 디지털 도장을 기반으로 인증 기반의 영수증, 쿠폰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마케팅 등.. 더보기 “모바일 트래픽, 5년 안에 10배 는다” 모바일 데이터 사용량(트래픽)이 5년 동안 10배 늘어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월간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성장 추세 (출처 : 시스코 비주얼 네트워킹 인덱스 글로벌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전망 5쪽)통신장비 회사 시스코는 2014년 2.5EB(엑사바이트)였던 월간 모바일 데이터 사용량이 2019년말께 24.3EB로 10배 가까이 늘어난다는 조사 결과를 내놓았다. 시스코가 2월3일(현지시각) 공개한 ‘비주얼 네트워킹 인덱스(VNI)’에 담긴 내용이다. 시스코는 2년에 한 번씩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예측 보고서를 내놓는다. 짝수년도에는 전체 인터넷 트래픽 보고서를, 홀수년도엔 모바일 트래픽 보고서를 발표한다.용어 설명1(EB)=1024PB(페타바이트), 1PB=1024TB(테라바이트), 1TB=1024G.. 더보기 페이스북, 온라인 유통 플랫폼 변모 박차... `판매` 기능 도입 페이스북이 온라인 유통 플랫폼 사업을 키우는 모양새다. 그룹 페이지에 ‘판매’ 기능을 넣어 온라인 벼룩시장 같은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제공한다는 전략이다. 엄청난 사용자 수를 기반으로 이베이·크레이그리스트 등 기존 시장 강자를 앞지를 수 있을지 주목된다. 페이스북이 자사 SNS 페이스북그룹(Facebook Groups)에 ‘판매(For Sale)’ 기능을 대폭 추가해 다음달부터 제공한다고 11일 테크크런치 및 주요 외신이 보도했다. 페이스북이 자사 SNS 페이스북그룹(Facebook Groups)에 ‘판매(For Sale)’ 기능을 대폭 추가해 다음달 제공한다고 11일 테크크런치가 보도했다. 이번에 도입된 기능은 SNS의 그룹 카테고리 중 ‘판매용’에 적용된다.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1000만개 정도의 페.. 더보기 이전 1 ··· 47 48 49 50 51 52 53 ··· 1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