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으로 확대된 폐가전제품 방문수거가 편리성과 자원 재활용 등 '두마리 토끼'를 잡는 서비스로 안착했다.
해마다 수거실적이 늘어나면서 경제적·환경적 편익도 부쩍 증가하는 추세다.
29일 환경부와 전국 자치단체에 따르면 지난해 방문수거한 폐가전제품은 모두 78만400여대로 1만 가구당 32대가량이었다.
2013년 16만2천대, 2014년 35만200대에 비해 가파른 상승세다.
수거실적이 늘어난 것은 폐가전 무상 방문수거 서비스의 확대 영향이 크다. 이 제도는 2012년 서울에서 시범적으로 운영되다 2013년 에는 6개 광역 시·도로, 2014년에는 전국적으로 확대됐다.
지난해 옹진, 신안 등 34곳에 이어 올해 보령, 군산, 진도 10곳 섬 지역에서도 서비스가 시행된다.
부산과 대전에서는 4∼5월, 9∼10월 등 이사 성수기에 사전 예약자를 대상으로 일요일 방문 수거도 한다.
지난해 지역별 수거실적을 보면 서울 14만4천300여대, 경기 10만3천100여대, 경남 9만4천여대, 부산 8만3천200여대, 대구 5만3천600여대 등의 순으로 많았다.
1만 가구당 수거실적은 제주가 86대로 가장 많았으며 울산 61대, 경남 58대, 대구 46대, 강원 44대 등이 뒤를 이었다.
경기·인천(19대), 전북·충북(각각 21대), 충남(24대), 서울(28대) 등은 하위에 포함됐다.
시민으로서는 무거운 가전제품을 직접 옮기는 불편을 덜고 대당 수천원, 전국적으로는 수십억원에 달하는 배출 스티커 구입비용을 아꼈다.
돈을 내고 스티커를 사서 폐가전에 붙여 배출하는 비용을 줄였다는 의미다.
재활용 물품 판매수익 t당 184만4천원, 매립·소각비용 절감액 t당 14만원, 천연자원 수입을 대체해서 거둔 편익은 t당 1억1천200만원에 달한다는 분석도 있다.
광주시는 편익 계산 공식에 지난해 수거량 867t을 대입해 모두 26억5천300만원의 경제적 편익을 봤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홈페이지(www.15990903.or.kr), 카카오톡(ID:폐가전무상), 콜센터(☎ 1599-0903)를 통해 예약하면 수거·운담 전담반이 가정을 방문해 폐가전제품을 수거해 재활용한다.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TV는 단일품목이라도 방문수거가 가능하며 PC 본체, 모니터, 노트북, 프린터, 히터, 청소기 등 소형 가전은 5대 이상 모아야 한다. 일부 아파트, 주민센터에 설치된 소형 가전 수거함을 확대해야 한다는 요구도 있다.
최지현 광주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자원순환 측면에서 좋은 취지의 서비스"라며 "시민 상대 홍보를 강화하고 가전제품에 있는 인체 유해물질을 안전하게 처리하는 시스템을 확립한다면 취지를 살리고 서비스도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핵심정보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복입고 인생샷, 여기가 대박! (0) | 2016.10.24 |
---|---|
햇빛 노출은 100세 건강을 위한 투자 (0) | 2016.06.27 |
케이블 정리를 위한 유용한 팁! (0) | 2016.03.07 |
`넷플릭스` 인기 미드 한국서 못보는 결정적 이유 (0) | 2016.01.18 |
음식으로 알아보는 맛있는 경제학 (0) | 2016.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