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 Insight/IT News

AI 기자가 인간 대체할까

AI 기자가 인간 대체할까


로이터, SNS에서 뉴스 골라내는 AI 개발


지난 8월 8일 오후 9시경 중국 쓰촨성 주자이거우(九寨溝·구채구) 인근에서는 규모 7.0의 지진이 발생했다. 당시 중국 지진국 소속의 지진대망센터는 지진 발생 24분 만에 중국의 대표 SNS인 위챗을 통해 지진 발생 위치 및 진앙지의 지형, 현지 거주 인구, 과거 지진 발생사 등을 내용이 담긴 속보를 전했다.

그 속보에는 4개의 위치 및 지형도와 도표 1개도 첨부됐다. 비슷한 시간대에 다른 언론사를 통해 보도된 속보보다 내용과 양이 훨씬 풍부하고 상세해 이해하기 쉬운 편이었다. 그런데 그 속보를 작성한 이는 바로 AI 기자였다.

AI 기자는 주자이거우에 지진이 발생한 지 19분 후 자동으로 기사를 쓰기 시작해 단 25초 만에 완성했다. 속보가 그로부터 5분 후에 발표된 것은 인간의 검수를 거치는 시간이 포함됐기 때문이다.


로이터는 트위터에 올라오는 메시지에서 뉴스를 선별해 보도하는 AI 기자를 개발해 주목을 끌고 있다. ⓒ public domain

로이터는 트위터에 올라오는 메시지에서 뉴스를 선별해 보도하는 AI 기자를 개발해 주목을 끌고 있다. ⓒ public domain


지난달 27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는 제6회 한국온라인저널리즘어워드 시상식이 열렸다. 그런데 뉴스서비스 기획 부문의 수상작으로 선정된 것은 다름 아닌 연합뉴스의  AI 기자 ‘사커봇’이었다. 연합뉴스가 자체 개발한 이 AI 기자는 영국 프리미어리그 축구 전 경기의 데이터를 수집․분석한 뒤 경기 결과 기사를 자동 작성한다.

워싱턴포스트가 개발한 AI 기자 ‘헬리오그래프(Heliograf)’는 지난해 리우올림픽에서 경기결과 및 메달획득 뉴스 등을 실시간으로 전하며 큰 활약을 펼쳤다. AP통신의 AI 기자 ‘워드스미스(Wordsmith)’는 미국 마이너리그 야구 경기 결과 속보를 전달할 뿐 아니라 기업 실적 기사까지 도맡고 있다. 워드스미스의 도입 이후 기업 실적 기사 보도 건수가 최대 13배나 증가할 만큼 그 유능성을 인정받고 있다.


1일 1200만건 트위터 메시지 분석해 뉴스 선별 

AI 기자는 지진 발생이나 스포츠 경기 결과, 주식 거래 현황 등 간단한 정보의 속보 전달 능력면에서 이미 인간 기자를 능가하고 있다. 뉴스 생산 메커니즘을 취재와 기사 작성이라는 두 가지 큰 부류로 나눈다면, AI 기자는 기사 작성에 매우 최적화되어 있는 셈이다.

하지만 언론사가 기자에게 요구하는 가장 중요한 능력은 바로 특종이다. 그런데 특종은 출입처 동향을 파악하고 다양한 취재원을 만나는 등 심층 취재 활동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특종은 AI가 흉내낼 수 없는 인간 기자만의 특출한 인문학적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 전 세계에 2500명의 기자를 두고 있는 세계적인 통신사 로이터에서 특종을 골라내는 AI 기자 시스템을 발표해 주목을 끌고 있다. ‘로이터 트레이서’라는 이 새로운 AI 기자는 트위터에 올라오는 메시지를 취재원으로 두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트레이서가 하루에 분석하는 트위터 메시지는 약 1200만 건이다. 이는 트위터 전체 메시지의 약 2%에 불과하지만 로이터 소속 기자 및 타 언론사, 주요 기업, 영향력 있는 개인 등의 계정에 오른 것들만 선별하므로 결코 적은 양이 아니다.

그들이 나누는 대화나 소문들 중에서 트레이서는 뉴스가 될 수 있는 사안을 식별한 뒤 그 정확도를 측정한다. 즉, 가짜 뉴스가 아닌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실제로 1일 1200만 건의 메시지 중 약 80%는 쓸모없는 것으로 판정된다고 한다.

나머지 20%의 메시지는 10개의 서로 다른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13개의 서버에서 분석을 거치게 된다. 기사로서의 가치가 검증되면 헤드라인과 요약 기사로 작성돼 로이터를 통해 뉴스로 배포된다. 로이터는 BBC나 CNN과 비교했을 때 트레이서가 2%의 트위터 메시지로 작성한 기사가 약 70%의 기존 기사를 커버했다고 밝혔다.


의도적으로 교란할 경우 가짜뉴스 생산 우려

통신사의 특성상 하나의 특종이라도 놓치게 되면 치명적이다. 즉, 타 언론의 특종을 놓치지 않고 모든 속보를 좀 더 신속히 전달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트레이서가 신속히 전파한 요약 기사 중에서 가치가 있다고 판정된 뉴스는 계속된 심층 취재를 통해 특종 보도를 이어갈 수도 있다.

트레이서 같은 AI 기자가 팩트 위주의 스트레이트 기사 작성이나 수많은 메시지 중 뉴스감을 선별하는 단순 노동을 대신한다고 해서 인간 기자의 일자리를 위협한다고는 볼 수 없다. 오히려 AI와 인간 기자의 담당 분야를 분리해 협업하면 뉴스의 가치를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런데 트레이서의 경우 벌써부터 한 가지 치명적인 단점이 거론되고 있다. 불순한 목적을 지닌 이들이 의도적으로 트위터에 정교한 가짜 메시지를 연이어 올릴 경우 오보나 가짜 뉴스가 전파될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가 바로 그것이다.

실제로 지난 10월 미국 증권가는 AI 기자가 생산한 가짜 뉴스로 혼란에 빠진 적이 있다. 경제전문 통신사인 다우존스의 속보에 ‘구글이 애플을 90억 달러에 산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주식시장이 요동쳤던 것. 스티브 잡스가 유언을 통해 구글의 인수인계를 준비했다는 내용까지 가짜 뉴스에 포함돼 혼란을 더욱 부추겼다. 다우존스는 기술 테스트 중 발생한 실수라고 해명했지만, AI가 어떤 이유로 가짜 뉴스를 생산했는지는 공식적으로 밝혀지지 않았다.

물론 AI 기자의 가장 중요한 기능 중 하나는 바로 가짜 뉴스를 가려내는 일이다. 즉, AI 기자가 기사를 작성하면 그 기사의 진위 여부 또한 AI가 가려낼 수 있다. 만약 트레이서 같은 AI 기자를 교란시키기 위한 목적의 AI까지 개발된다면 뉴스의 진실은 그야말로 AI끼리의 성능 비교로 가려지게 되는 셈이다. 과연 AI 기자는 이 같은 우려를 딛고 인간 기자의 발전을 촉진하는 진정한 협업자가 될 수 있을까.


출처: http://www.sciencetimes.co.kr/?news=ai-%ea%b8%b0%ec%9e%90%ea%b0%80-%ec%9d%b8%ea%b0%84-%eb%8c%80%ec%b2%b4%ed%95%a0%ea%b9%8c (the science t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