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 Insight/IT News

[6G 코리아] ② '저대역 재활용·신규대역 발굴' 투트랙으로 주도권 쥔다 이 기사는 6G 시대에 대비해 주파수 확보와 활용에 있어 전략적 접근이 필수적임을 강조하며, 다양한 주파수 대역을 효율적으로 관리 및 활용함으로써 초기 시장 선점과 비용 절감, 그리고 기술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는 정부와 업계의 방향성을 잘 보여줍니다. 6세대(6G) 이동통신 기술 주도권 경쟁의 핵심인 6G 주파수가 2027년 세계전파통신회의(WRC)에서 확정된다. 세계 각국은 자국 산업계에 유리한 주파수 대역을 연구·발굴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우리 정부도 WRC-27 준비단을 발족, 주도권 확보에 나섰다. 정부는 신규 대역 발굴과 기존 저 대역 활용이라는 투트랙 전략을 통해 6G 조기 상용화를 주도하고 초기 시장을 선점한다는 구상이다.우리나라는 앞서 열린 WRC-23에서 제안한 4.4~4.8㎓(일부대역).. 더보기
프랑스 스타트업 미스트랄 AI, 챗봇 출시…MS와도 손잡아 프랑스 스타트업 미스트랄 AI가 챗GPT와 유사한 기능의 자체 챗봇 '르 챗(Le Chat)'을 출시했다고 AFP 통신이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스트랄 AI는 “르 챗은 다국어를 지원하며, 교육적이고 재미있게 미스트랄 AI의 기술을 탐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미스트랄 AI는 초기 고객들에게 르 챗 사용 권한을 부여해 당분간 성능을 시험할 계획이다. 미스트랄 AI는 지난해 초 구글과 메타의 전직 연구원들이 설립한 기업이다. 1년도 채 안 돼 5억유로(약 7000억원)의 자금을 유치했다. 미스트랄 AI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 파트너십도 체결했다. MS도 이날 성명을 통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하며 미스트랄 AI를 “혁신가이자 선구자”라고 평가했다. MS는 미스트랄 AI의 인공지능 .. 더보기
인텔 “AI PC 전환 가속화할 것” ...올해가 AI PC 원년 인텔이 인공지능(AI) PC 플랫폼 '인텔 코어 울트라'가 탑재된 노트북 신제품을 공개하고, AI PC 전략을 발표했다. 인텔은 19일 플란트란스 성수 플래그쉽에서 'AI 에브리웨어' 쇼케이스를 개최해 AI PC 전략을 공개하고, 인텔 코어 울트라 프로세서를 탑재한 최신 노트북 12종을 선보였다. 인텔 코어 울트라는 AI 가속 기능과 전력 효율성이 뛰어난 PC 플랫폼으로, 크리에이티브 작업, 스트리밍, 게임 등 업무나 일상에서 AI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도록 지원한다. 최원혁 인텔코리아 상무는 “AI PC는 하나의 카테고리가 아닌 PC의 전환을 가속화하는 기술이 될 것이고 2024년은 AI PC의 원년으로 기록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대부분 제조사에서 인텔 코어 울트라가 탑재된 노트북을 시장에 .. 더보기
오픈AI, 텍스트로 동영상 만드는 AI '소라' 공개 오픈AI가 공개한 텍스트 입력으로 만든 영상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15일(현지시간) 텍스트 기반으로 동영상을 만들어주는 인공지능(AI) 서비스 '소라(Sora)'를 공개했다. 오픈AI는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텍스트 투 비디오(Text to Video)' 모델인 소라를 공개했다. 텍스트를 입력하면 최대 1분 길이의 동영상을 제작해준다. 오픈AI는 블로그를 통해 “언어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갖고 있어 프롬프트를 정확하게 해석하고 생생한 감정을 표현하는 매력적인 캐릭터를 생성할 수 있다”며 “사용자가 프롬프트에서 요구한 것뿐만 아니라 프롬프트가 물리적 세계에 어떻게 존재하는지 이해한다”고 밝혔다. 소라는 이미지를 동영상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기존 동영상을 확장하거나 누락된 프레임을 채울 수도 있다. 샘.. 더보기
마이다스아이티 "해군도 AI로 역량 검사" 해군이 과학기술 기반의 스마트 해군(SMART Navy) 건설을 위한 노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마이다스아이티에 따르면 해군은 지난 11월 29일부터 12월 10일까지 128기 학사사관후보생(OCS)들을 대상으로 AI역량 검사 수검을 했다.해군은 지난 5월 면접관의 편견과 편향을 배제하고 보다 합리적인 채용으로 군 조직 생활에 적합한 인재를 뽑기 위해 AI역량검사 개발기업인 마이다스아이티와 업무 협약을 체결, AI역량검사를 도입했다. 현재는 지원자의 역량을 통해 군 문화 적합도와 업무 적합도 등을 평가하는 측량도구로 활용하고 있다.편한 시간과 장소에서 지원자가 60분간 AI역량검사에 응시하면, 이 과정에서 조직 적합도와 성과 예측 정도를 측정, 이 내용을 기반으로 해군 면접관이 오프라인 면접을 통해 10..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