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스트 이중기 박사팀 최초 구현
실에 갈륨·인듐 금속전극 주입해
고신축·탄성 웨어러블 전지 작동
기존 금속-공기전지보다 출력 2배
반경 1㎜ 이하로 구부려도 성능 유지
실에 갈륨·인듐 금속전극 주입해
고신축·탄성 웨어러블 전지 작동
기존 금속-공기전지보다 출력 2배
반경 1㎜ 이하로 구부려도 성능 유지
한국과학기술연구원(키스트) 에너지저장연구단 이중기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26일 “상온에서 액체 상태로 존재하는 갈륨(Ga)-인듐(In) 공융화합물을 사용해 기존의 이차전지를 대체할 금속-공기전지의 새로운 음극소재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공융화합물은 두 물질을 가열하면 일정 온도에서 동시에 용융하는 물질들의 화합물을 가리킨다. 금속-공기 전지는 양극(+극)에 공기 중의 산소를 사용한 차세대 이차전지로 가볍고 에너지 밀도가 높은 특징이 있다.
웨어러블 전자제품에 결합될 전지는 높은 에너지 밀도와 출력, 신축성 및 유연성이 요구되고 세탁을 할 수 있어야 하며 발화 위험이 없어야 한다. 하지만 기존의 금속-공기전극은 얇은 선이나 시트형태이거나 스프링 모양으로 신축성 있는 섬유 사이에 전지셀을 배치하는 형태여서 섬유 만틈의 유연성과 신축성을 확보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이 개발한 갈륨-인듐 공융액체금속공기전지는 섬유실 형태의 몸체 내부에 전극물질을 단순히 흘려 넣음으로써 100% 이상의 신축성과 1㎜ 이하의 반지름으로 구부릴 수 있는 유연성을 지녔다. 기존의 ‘표면 위에 코팅된 전극형태’가 가진 한계를 ‘섬유실 내부에 삽입된 전극형태’로 극복한 것이다.
이중기 책임연구원은 “연구팀이 개발한 전지 기술은 공정이 복잡한 나노공정기술 없이 단순한 혼합공정만으로 제조가 가능해 저비용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이번 기술 개발은 4차 산업용 웨어러블용 에너지저장시스템(ESS)에 새로운 해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해외우수신진연구자사업으로 키스트 연구단에 합류한 중국의 리우구쳉(유계성) 박사가 제1저자로 참여한 연구팀 논문은 화학·물리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트 에너지 머티리얼스> 14일(현지시각)치 온라인판에 게재됐다.이근영 선임기자 kylee@hani.co.kr
출처:
http://www.hani.co.kr/arti/science/technology/837682.html#csidxb632b68f540f4368899ca691360fad3
'IT & Insight > IT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내부의 편견, 방치하면 증폭된다 (0) | 2018.03.28 |
---|---|
“인공지능 LG 씽큐(ThinQ) 아이스 판타지아” 열린다 (0) | 2018.03.27 |
아마존, 올해 AI 스피커 시장 점유율 50.8%애플과 중국 업체들의 공세 치열할 전망 (0) | 2018.03.26 |
애플, OLED 아이폰 비중 축소 '충격파'…5500만대로 반토막 날듯 (0) | 2018.03.26 |
최소한의 개인 정보로 페이스북 사용하려면? (0) | 2018.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