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 Insight/IT News

완전 무인자율주행이 가능하려면

기술 혁신에 따른 신뢰 혁신 필요



1월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19’에서 가장 눈길은 끈 것은 자율주행차였다. 그만큼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신산업으로 주목을 받았기 때문이다. 세계적인 경영컨설팅 기업인 보스턴컨설팅그룹(BCG)도 전 세계 자율주행차 시장 규모가 2025년 420억 달러 규모에서 2035년 770억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운전자가 필요 없는 완전한 무인자율주행차로 발전하기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다. 미국자동차공학회는 자율주행차를 6단계로 구분했다. 비자동화가 0단계, 운전자 지원 기능이 1단계, 부분적 자율주행이 2단계, 조건부 자율주행이 3단계, 고도화된 자율주행이 4단계, 완전 무인자율주행이 5단계다.

‘CES 2019’에서 가장 눈길은 끈 것은 자율주행차였다.  5단계 완전한 자율주행차 상용화되면 늦은밤에도 고속도로 졸음운전이 없이 안전한 장거리여행이 가능해질 것이다. ⓒ Pixabay / ScienceTimes

‘CES 2019’에서 가장 눈길은 끈 것은 자율주행차였다. 5단계 완전한 자율주행차 상용화되면 늦은밤에도 고속도로 졸음운전이 없이 안전한 장거리여행이 가능해질 것이다. ⓒ Pixabay / ScienceTimes

5단계 자율주행차, 기술은 물론 신뢰 혁신 필요

현재는 4단계 자율주행차를 비전으로 글로벌 기업들의 기술개발이 한창이다. 이를 위해 지난 24일 열린 ‘앤어워드2018′ Talk Shower에서 ‘자유로운 자율주행차의 현재’를 주제로 강연한 정승준 인터랙션 디자이너는 “기술의 혁신이 중요하지만 신뢰의 혁신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CES에서 최신 자율주행 연구개발차량 ‘LIV 2.0’을 선보인 스웨덴의 ‘Techno Creativs’라는 테크 컴퍼니에서 사람과 기계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디자인하고 있다. 그는 운전자에 대한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돕고, 목소리나 손의 움직임을 통해 운전자 마음 상태를 추적할 수 있는 자율주행차 ‘LIV’의 기술을 소개하면서 신뢰의 혁신을 강조했다.

그는 “LIV는 스웨덴어로 삶 또는 생명을 지킨다는 뜻”이라며 “흔히들 자율주행차라고 하면 자동차가 인간을 위해 모든 것을 해주는 완전한 자율주행차를 떠올리지만 이를 대중화하기 위해 자율주행차 3단계를 넘어 어떻게 운전자를 도와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지를 위한 연구부터 시작하게 됐다”고 소개했다.

그런데 “완전한 자율주행이 이뤄지기 전까지는 차량 운전에 인간의 개입이 있기 때문에 어떻게 하면 자동차와 운전자가 서로를 도와가면서 함께 운전을 할 수 있을까라는 점에 초점을 맞추고 인간과 기계의 커뮤니케이션에 집중했다”고 설명했다.

그 결과 “현재 접목 가능한 기술을 중점적으로 사용하여 운전자와 자동차가 매끄러운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했다”고 덧붙였다. 그 기술 중 하나가 바로 음성지원이다. 즉 인공지능의 판단으로 운전자의 시야에 보이지 않는 방해물로 인해 급제동을 했다면 그것을 인간의 언어로 알려줌으로써 운전자가 자동차의 결함을 의심하지 않을 수 있고 그만큼 자동차 결정에 대한 운전자의 신뢰를 높일 수 있다는 얘기다.

'자유로운 자율자동차의 현재'를 주제로 강연하고 있는 정승준 인터랙션 디자이너

‘자유로운 자율자동차의 현재’를 주제로 강연하고 있는 정승준 인터랙션 디자이너 ⓒ 김순강 / ScienceTimes

AI 판단에 대한 음성지원, 신뢰성 높여

또 다른 기술로는 AI와 아이트래킹(eye-tracking), 터치센서 등이다. 그는 “인공지능이 아이 트래킹과 터치센서 기술을 통해 운전자의 상태와 상황을 감지하고, 그것을 분석해 자동감속이나 자율주행모드로 바꾸게 된다. 이것이 얼핏 보면 단순해 보이지만, 인공지능이 운전자의 행동패턴을 학습하여 판단함으로써 운전자와 자동차의 신뢰성을 높이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정승준 인터랙션 디자이너는 “현재 이용가능한 자율차량기술 사용에 있어서 가장 큰 걸림돌은 기술과 운전자의 신뢰 부족”이라며 “사실 현재의 디지털 기술은 인간의 능력을 완전히 대체해주는 것이 아니라 증강시켜 주는 것이기 때문에 기술의 혁신도 중요하지만 신뢰의 혁신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렇게 된다면 그는 “자율주행차가 교통사고 원인의 94%를 차지하고 있는 운전자의 실수를 없애서 교통사고를 현격하게 줄이게 될 것이고, 정차해 있는 시간이 96%인 전 세계 1조대 이상의 자동차를 효율적으로 움직이게 할 것이며, 몇몇 도시에서 주차장으로 사용되고 있는 20% 이상의 토지를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낙관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자율주행차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윤리문제부터 풀어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이런 윤리문제에는 역사적 난제인 ‘트롤리 딜레마(Trolly dilemma)’가 있다. 자율주행 기술의 알고리즘 설계 시 윤리적 기준을 어떻게 정해야 하느냐 하는 것이다. 즉 직진을 하게 되면 10명이 무단 횡단자를 치게 되고, 급하게 우회전을 하면 인도의 보행자 1명만 치게 되는 경우, 어떤 선택을 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윤리적인지를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것이 신뢰 혁신에 주목하는 까닭이기도 하다.


출처 :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C%99%84%EC%A0%84-%EB%AC%B4%EC%9D%B8%EC%9E%90%EC%9C%A8%EC%A3%BC%ED%96%89%EC%9D%B4-%EA%B0%80%EB%8A%A5%ED%95%98%EB%A0%A4%EB%A9%B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