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지털

LG전자, 전략 스마트워치 ‘LG G워치R’ 전격 공개 LG전자(066570)가 28일 전략 스마트워치 ‘LG G워치R(LG G Watch R)’를 전격 공개했다. ‘LG G워치R’는 스마트워치로는 세계 최초로 완벽한 원형의 플라스틱 OLED 디스플레이를 적용했고, 풀 서클(full circle) 디자인을 위해 제품 내부의 부품 설계도 최적화했다. 플라스틱 OLED는 가볍고 얇게 만드는데 보다 적합하며, 가공성이 뛰어나 정교한 이미지 구현에 유리하다. 시야각이 넓어 색상이 선명하고, 야외 시인성도 높다. 고급 시계들이 주로 채택하는 메탈바디, 천연 가죽 소재의 스트랩 등도 감각적 디자인에 힘을 보탰다. ‘LG G워치R’는 최고 수준의 하드웨어와 직관적이고 편리한 사용자 경험을 탑재했다. ‘LG G워치R’는 1.2GHz 퀄컴 스냅드래곤 400 프로세서, 410.. 더보기
가트너가 꼽은 ‘2015년 10대 전략 가트너가 10월13일 보도자료를 통해 ’2015년도 10대 전략 기술 동향’을 발표했다. 향후 3년간 기업에 미칠 주요한 영향을 기술도 함께 소개했다.가트너는 매년 IT업계를 이끌 중요한 기술을 발표한다. 올해와 작년을 비교해보면 웨어러블이나 사물인터넷에 잠재력을 높게 평가했고, 3D 프린팅 산업에 대한 기대도 컸다. 특히 과거엔 주로 모바일 기술을 강조했다면, 이번엔 모바일 뿐만 아니라 사물인터넷과 웨어러블 기기 등 다양한 기기와 이를 연결하는 기술을 강조했다. 3D 프린팅도 태동 단계를 넘어 성장하는 단계로 보며 출하량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또한 과거에 빅데이터가 유행했다면, 내년부터는 좀 더 똑똑한 데이터 활용이 많아질 것으로 보았다. 스마트머신, 클라우드, 소프트웨어정의인프라, 웹스케일에 대한.. 더보기
피코 프로젝터 삼킨 안드로이드 태블릿 요가 태블릿2 프로(Yoga Tablet 2 Pro)는 레노버가 선보인 13.3인치 안드로이드 태블릿이다. 이 제품은 2560×1440, WQHD 해상도를 지원하는 IPS 액정을 달았고 서브우퍼를 내장했다. 하지만 가장 눈길을 끄는 건 태블릿 안에 놀랍게도 프로젝터를 내장했다는 것이다.이 제품은 다른 요가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원통형으로 생긴 디자인 스탠드를 내장하고 있다. 그런데 요가 태블릿2 프로는 이곳 힌지 부분 가장자리에 피코 프로젝터를 달았다.프로젝터는 2m 거리에서 50인치까지 화면을 투사할 수 있다.다른 사양을 보면 앞서 소개한 고해상도 외에 인텔 아톰 Z3745 쿼드코어 1.86GHz, 램2GB, 저장공간 32GB에 마이크로SD카드 슬롯을 곁들여 64GB까지 확장할 수 있다. IEEE802... 더보기
한국 스타트업, 자세 교정 도와주는 ‘스마트 방석’ 개발 SeatLogger앉은 자세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읽을 수 있다?한국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업체 ‘쓰리엘랩스(3L Labs)’가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도와주는 스마트 방석 ‘시트로거(SeatLogger)’를 개발했다.시트로거는 압력 센서와 진동 모터, 블루투스를 방석 형태로 만든 웨어러블 디바이스다. 이 디바이스를 의자에 설치하면 된다.압력 센서는 하중 분포를 기록한 데이터를 블루투스를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 다리를 꼬고 앉거나 엉덩이를 빼고 앉거나 무릎이 골반보다 낮은 자세로 앉는 등 하중 분포가 바람직하지 않을 경우에 시트로거의 작은 모터는 사용자에게 진동을 보낸다. (진동 모터 기능은 ‘오프’로 설정해 꺼둘 수 있다.)기기와 연동된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에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뜬다. 자신이 평.. 더보기
삼성전자, '스마트폰 쇼크' 실적 부진으로 현실화(상보) 3Q 잠정 실적 매출 47조·영업익 4.1조…'어닝쇼크' 무선사업 부진 따른 시스템LSI·OLED 패널 등도 불똥[이데일리 박철근 기자]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판매부진으로 실적이 대폭 하락할 것이라는 시장의 전망이 적중했다. 삼성전자(005930)(1,165,000원 14,000 +1.22%)는 7일 지난 3분기에 매출 47조 원, 영업이익 4조1000억 원의 잠정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한 마디로 어닝 쇼크다. 지난해 3분기 10조1600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절반도 되지 않는 수준이다. 매출 역시 전년동기(59조800억 원)대비 20.5%나 감소했다. 삼성전자는 “무선사업부의 실적이 큰 폭으로 감소하고 무선 제품 수요 약세에 따른 시스템LSI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사업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