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과연 이대로 괜찮은가?
빅데이터가 활용화되면 가장 우려했던 점이 정보의 보안이다. 일반적으로 악성코드에 의한 해킹이 아닌 사람들의 패턴을 분석하기 위한 빅데이터의 저장소에서 그릇된 생각을 가지면 악용되어질 수 있으며 그 파급력 또한 클 것이라는 이야기다. 하기기사의 내용은 미국 오바마 정부에서 페이스북을 비롯한 미국에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온라인 플랫폼에게 이용자들의 특정 데이터를 건네받았다는 내용이다.
조지오웰의 소설 '빅브라더'를 보면 특정 감시자가 정보를 독점함으로써 모든 사람들을 관리한다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지금 생각해보면 상당한 인사이트를 제시해주는 소설이다. 미국정부의 데이터 수집이 과연 이번이 처음이자 마지막일 것인지 빅브라더의 서막이 되지 않을 것인지는 지켜봐야겠지만 오바마 정권에 들어서 통과된 다양한 법안들의 내용을 확인하여 볼 때 충분히 우려할만한 사안인 것 같다.
우리나라의 정부를 비롯하여 세계각지의 다양한 기관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하려는 노력이 보인다. 과연 이것이 발전적인 의미를 지닌 것인지 생각해보아야 할 것 같다. 물론 이 이전에 사용자들의 데이터가 기사의 내용과 같이 일반적인 개인의 인권보호가 온라인에서도 통용된다면 빅데이터의 활용목적에 맞게 좀더 이 시대를 발전시킬 수 있는 기술이 될 것이다.
#
IT 회사들, 미 정부에 사용자 정보를 넘겼나?
미국 국가 안보국 (NSA)이 주요 IT 기업을 통해 일반 국민들의 통신내용과 사용자 정보등을 감시해오고 있다는 보도가 나간 이후, 그 진위와 범위를 둘러싸고 미국 텍 업계는 뜨거운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구글, 페이스북, 야후등은 즉각 반박 성명을 내고 정부에게 직접적인 액세스를 준 적이 없다고 천명했다. 첫 보도후에 나온 추가 자료들을 종합하면, 이 회사들은 법적으로 정부기관이 요구할 수 있는 사항 (예를 들어, 법원의 영장이 있는 경우등)에 대해서 협조해 왔는데, 이 절차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 별도의 서버를 구축하고 이곳에 자료를 담아두면 정부가 액세스 할 수 있게 하였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회사들이 법적으로 요구되는 정보를 내준다 하더라도, 굳이 정부의 편의를 위해 이렇게 까지 할 필요가 있었냐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텍크런치의 창업자인 마이클 애링턴은 텍 CEO들을 가리켜 ‘겁장이들’ 이라고 부르며 진실을 말할 것을 종용하기도 했다.
tN insight: 정부의 비밀 감시 프로그램 (PRISM)은 지금 업계에 가장 뜨거운 이슈가 되고 있다. 기업 윤리, 인권등의 문제도 대두되고 있고, 정치적으로 아주 민감한 문제다. 미국은 수정헌법 4조에서 적법한 절차 (법원의 영장등) 없이 정부가 개인의 사유품이나 주거지등을 압수, 수색할 수 없게 되어있다. 이러한 개념이 디지털 시대에는 이메일이나 소셜 네트워크등과 같은 공간에도 적용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주장도 많다. 만약 NSA가 전방위적인 감시를 하고 있었다면 현 오바마 정부에 정치적인 타격을 줄 것이고, IT 회사들이 법으로 어쩔수 없이 요구되는 사항 이상에 해당하는 정보를 정부에 넘겼을 경우, 사용자들의 반발도 엄청날 것이다. 상황을 좀 더 지켜봐야 할 필요가 있지만, NSA가 개입된 만큼 그 진위가 명백히 밝혀지기는 무척 어려울 것이다.
관련기사: NYT, Uncrunched
http://techneedle.com/?p=10649&utm_source=feedly
'IT & Insight > IT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워크 시대!! 어떻게 준비하니? (0) | 2013.06.12 |
---|---|
진격의 데이터!! (0) | 2013.06.11 |
집전화 다음으로 없어질 위기에 처해진 것?? (0) | 2013.06.07 |
구글의 인사이트?! (0) | 2013.06.07 |
Biz model 따라잡기! (0) | 2013.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