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더웨이컨설팅

가트너 “CIO, 기술·가치·리더십 다 뒤집어라” IT가 점점 변화하면서 IT 관리자의 역할도 진화하고 있다. 최고정보관리책임자(Chief Information Officer, CIO)가 그 예이다. CIO는 주로 조직의 데이터나 정보시스템을 총괄하는 일을 맡는다. 요즘 CIO는 경영전략이나 기업의 혁신을 이끌어내는 사람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앤디 로셀-존스 가트너 부사장 겸 책임연구원은 2월2일 열린 브리핑 세션에서 ‘2015년에 CIO가 가져야 할 덕목’을 발표했다. ▲앤디 로셀-존스 가트너 부사장 겸 책임연구원앤디 로셀-존스 책임 연구원은 “앞으로 다가오는 시대에는 미래를 예측하기 힘들다”라며 “성공하기 위한 명확한 방법을 정의할 수 없게 됐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이러한 불확실한 시대에 대응하려면 기업은 끊임없는 새로운 실험으로 필요한 .. 더보기
2015년 세상을 바꿀 신기술 2015년을 배경으로 하는 영화 를 보면 ‘미래’의 물건들이 많이 등장한다. 식당에서 주문을 받는 무인 모니터나 옥외광고에 활용되는 3D홀로그램, 하늘을 나는 스케이트보드(호버보드), 비행하는 자동차 등이다. 안타깝게도 사람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던 이 물건들은 실제 2015년인 올해도 찾기 어려울 전망이다. 도로를 달리던 자동차가 갑자기 하늘로 치솟아 날아가는 일은 아직 상상의 영역에 머물러 있다. 하지만 실망하기엔 이르다. 전문가들은 올해를 매우 특별한 해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미래학자 레이 커즈와일이 말한 ‘특이점’은 아니더라도 게임의 규칙과 기존의 질서가 바뀌는 ‘변곡점’의 해는 될 수 있다는 것. 각종 트렌드 서적과 조사발표 등을 살펴보면 특별히 올해 하늘과 땅을 뒤엎을 만한 신기술이 등장할 .. 더보기
핀테크 열풍과 그늘 지난해부터 한국에서는 핀테크 열풍이다. 미국도 지난 2년 간 핀테크 관련 스타트업에 30억달러 이상이 투자되고 있다. 짐 콜린스가 저서 에서 위대한 은행으로 꼽았던 웰스파고도 지난해에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터를 만들어서 핀테크 관련 회사들을 지원하기 시작했다.지금까지 미국에서 대표적인 핀테크 회사의 사례를 보면 크게 4가지로 나뉜다.첫째, 돈을 ‘쉽게 쓰게’ 해주는 결제 서비스다. 일반 소비자용 서비스면서 플랫폼 모두를 가진 페이팔이 대표 사례다. 페이팔이 인수한 플랫폼 솔루션 회사 브레인트리, 스트라이프, 신용카드 단말기를 대체하는 스퀘어 등도 이에 속한다. 소비자는 물건값을 쉽게 결제하고, 서비스 공급자는 결제 플랫폼이 없어도 남이 만든 것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돕는다.둘째, 돈을 ‘잘 쓰게’ 하는 개.. 더보기
삼성 스마트폰 왕좌 뺏기나… 덜미 잡는 애플 작년 4분기 세계시장 판매량 7450만대 공동 1위 올라 애플, 화면 키워 中 시장서 1위… 삼성, 고가·중저가 '쌍끌이' 승부 3년 넘게 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절대강자로 군림했던 삼성전자가 애플에게 덜미를 잡혔다. 그 동안 양 사 격차가 적지 않았던 점을 감안하면, 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판도변화까지 점쳐지고 있다. 29일 미국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전자와 애플은 나란히 7,450만대의 판매량을 기록, 공동 1위에 올랐다. 삼성전자가 2011년 3분기 애플을 따돌리고 세계 스마트폰 시장 1위에 오른 이후 3년여 만으로, SA 자체 조사 집계가 시작된 이래 글로벌 1,2위 스마트폰 업체가 함께 1위를 차지한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양.. 더보기
네이버, ‘라인’ 타고 순항 중 ‘라인’이 네이버 성장세를 이끌었다.네이버가 1월29일, 2014년 실적을 발표했다. 지난해 네이버 매출은 2조7619억원으로 1년 전보다 22.3% 늘어났다. 영업이익은 7605억원으로 지난해보다 50.1%나 뛰었다. 네이버 성장세를 이끈 건 단연 모바일 메신저 라인이었다. 네이버는 라인 매출이 2217억원이라고 밝혔다. 1년새 62% 성장한 수치다.사업 부문별로 보면 콘텐츠 부문이 지난해에 비해 61.7% 성장해 6900억원 매출을 올렸다.콘텐츠 사업은 게임과 스티커, 플레이 등 라인 플랫폼에서 유통되는 콘텐츠와 네이버 웹툰, 뮤직 등을 말한다. 네이버는 콘텐츠 매출 90%가 해외에서 나왔다고 설명했다. 이 부문 매출 대부분이 라인과 관련된 사업에서 나온다는 뜻으로 읽힌다.네이버의 가장 큰 수익원인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