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 Insight/IT News

모래알 크기의 초소형 배터리

지난 19일 사이언스데일리에서 3D프린터를 활용하여 초소형 배터리 제작이 가능하다는 논문이 발표되었습니다. 기존의 배터리 제작형태는 얇은 필름 형태의 고체 재료를 겹쳐쌓는방식이었는데, 이를 초박형 전극을 입체적으로 맞물려 쌓아서 에너지를 저장하는 방식으로 변화하여 제작이 이뤄졌다고 하네요.

 

이번 논문발표가 중요한 점은 기사에도 언급되었지만 각종 기술 발전의 획기적인 기회가 되는 사건이기 때문입니다. 스마트 기기만 해도 각 스마트 기기제조사들이 가장 신경 쓰는 부분 중 하나가 배터리 제조 기술입니다. 기기의 크기문제에 있어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부분이기 때문인데요. 이번 기술개발을 통해 또 다른 형태의 스마트 기기 제작이 가능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몸 안에 넣을 수 있는 각종 의료장비에서부터 굉장히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을 것입니다.

 

문제는 상용화되는 데에 얼마나 시간이 걸리는가 일텐데, 빠른 상용화가 이뤄지길 기대해봅니다. 이번 사례에서 또 중요한 사실은 3D 프린팅을 이용한 제조가 이뤄졌다는 점인데요. 최근 각광받고 있는 3D 프린팅 기술이 각계에서 활용되고 있다는 것을 다시 되짚어 볼 수 있습니다. 기존의 제조 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형태의 제조기술로서 작용하며, 기존의 기술적 한계를 뛰어넘는 상품들의 제작에 기여를 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3D프린팅의 활용이 향후 제조업계에서 어떤 영향을 미칠지 자세히 고민해보면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

 

3D 프린터로 모래알 크기 배터리 만든다

 

3D 프린터를 이용해 모래알 크기의 리튬이온 배터리를 만드는 실험이 성공했다.

 

19일 사이언스데일리에 따르면 하버드대와 일리노이주립대(UIUC) 과학자들은 3D 프린터로 초소형 배터리 제작이 가능하다는 논문을 첨단재료저널에 발표했다.

 

초소형 배터리는 의학과 통신 기술 발전의 획기적 전기를 마련할 수 있다. 몸 안에 넣는 작은 의료 장비나 곤충을 모방한 비행로봇, 안경에 장착할 수 있는 초소형 카메라와 마이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초소형 기기가 만들어졌지만 배터리가 너무 커서 실용화되지 못했다.

 

제조사들은 얇은 필름 형태의 고체 재료를 겹쳐쌓는 방식으로 초소형 배터리를 제작했다. 너무 얇은 배터리는 충분한 에너지를 저장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연구진은 초박형 전극을 입체적으로 맞물려 쌓으면 더 많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고 3D 프린터로 만든 초소형 배터리에 적용했다.

 

연구진은 화학적·전기적 성질을 가진 다양한 기능성 잉크로 주문제작한 초소형배터리를 만들었다. 이 배터리는 충전과 방전 속도, 사이클 수명, 에너지 밀도 등에서 상업용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알려졌다.

 

http://www.etnews.com/news/international/2785524_1496.html

'IT & Insight > IT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초상권은 내가 지킨다!!!  (0) 2013.06.21
이슈가 된 우리들?!!!  (0) 2013.06.21
모바일 콘텐츠 시장  (0) 2013.06.19
스마트 교육에 대한 우려  (0) 2013.06.18
모바일 광고시장  (0) 2013.06.17